Server/node.js 2012. 6. 23. 19:27

1. 설치

 - 윈도우용 다운받아서 설치 ( 환경설정에 node 경로가 자동으로 등록된다. )

2. npm

 - 노드 0.6.3 버전부터 npm이 노드에 포함됬다.

 - 커맨드라인에서 >npm -v 라는 명령이 동작되면 설치되어 있는 것

3. 확장모듈 설치

 - 글로벌 설치 : >npm install 모듈명 -g    (>npm [명령어] [모듈명] [옵션])

 - 로컬 설치 : >npm install 모듈명

 - 설치된 모듈 리스트 보기: >npm list   ( 글로벌리스트를 볼려면 -g 를 붙인다 )

 - 확장 모듈 검색 : >npm search  ( 최초에는 인덱스를 만들기때문에 시간이 걸린다.)

 - 상세 정보 : >npm info 모듈명

 - 확장 모듈 update : >npm update 모듈명 ( 글로벌인 경우 -g를 붙인다.)

 - 확장 모듈 제거 : >npm uninstall 모듈명 ( 모듈의 디렉토리를 삭제해도 된다. )

4. 프로젝트 시작

 - 프로젝트명으로 폴더를 만들고 1) npm install express 2) npm install jade

 - 글로벌로 설치했지만 그냥 로컬에 기본적인 모듈을 설치해버리자.

 - 설치가 끝나면 >express 라고 명령하면 폴더가 비어있지않다고 경고가 나오지만 yes 로 설치한다.

- >npm install 명령을 내려 independency 설정을 해준다.

 - 기본 노드모듈이 설치가 되고 바로 >node app.js 를 실행해 서버가 시작되면 //localhost:3000 으로 접속해서 express 가 뜨면 설치가 잘된것이다.

5. 링크

http://crazia.tistory.com/955

6. 로컬 서버 개설하여 파일 서비스하기

$ npm install -g quickserve

# and then when you want to develop $ cd path/to/cocos2d-html5 $ quickserve .

> serving path/to/cocos2d-html5 at: http://localhost:1234

 

7. 설치할만한 모듈들

1) global

 - nodemon >npm install nodemon -g

   : 실시간으로 소스를 수정하고 적용하게 해주는 모듈.

   : 실행>nodemon test.js     // node test.js 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...

 - forever >npm install forever -g

   : 데몬으로 돌릴 수 있게 해주는 모듈

   : 실행>forever start test.js

 - express >npm install express -g

   : 경량 프레임워크

   : express [옵션] [경로]

 - socket.io >npm install socket.io -g

   : 웹소켓

 - node-inspector >npm install node-inspector -g

   : 디버그용 툴

   : 우선 노드를 디버그 모드로 실행한다.

   -->node --debug-brk test.js   // 첫라인에서 멈추게 한다.

   : 다른 콘솔에서 인스펙터 실행

   --> node-inspector &

   --> 크롬에서 localhost:8080 으로 접속하면 디버그창 뜬다.

2) local

 - schedule >npm install node-schedule

   :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.

 - jade >npm install jade

   : express 뷰 템플릿 엔진

 - mySQL >npm install mysql

   : sql 데이터베이스 사용

 - mongorian >npm install mongolian

   : noSQL 데이터베이스 사용

'Server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eroku 에 클라우드 서비스 하기  (0) 2012.12.20
Node.js  (0) 2011.12.24
posted by kirhieyes
: